본문 바로가기

기후, 환경

꽃피는 봄 3월 21일 경남 폭설 가능성?


 꽃피는 봄 3월 21일 경남, 대구에 폭설? 말도안되는소리 하지마라, 뭔 헛소리하느냐? 라고 물을 수 있다. 그러나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다.

최소 진눈깨비라도 볼 지역이 많으며, 산지는 눈이 쌓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라고 확신한다.




 2018년 3월 8일에 뜬금없이 폭설이 쏟아졌다.

위 사진은 경남 창녕읍 화왕산도로 모습인데, 적게는 5cm내외로 적지않은 눈이 내렸다.

이 당시, 폭우가내리던 대구에도 눈으로 바뀌어서 7.5cm나 내리고, 대설주의보가 발령!!

거창은 더 많이 내려 9.7cm의 탈경남 수준을 보여주었다.

경남일부, 대구, 경북에 큰 눈이 내림 ;; 




폭우처럼내리던 봄비가 눈으로 바뀌는순간, 질퍽한 눈도, 양껏내리니, 길에 금방 쌓였다.

역시 물량빨이 최고!! 겨울내내 제대로오지않던 눈이 봄에 집중되었다.




그런데, 3월 21일 예사롭지않다. 2018년 3월 8일 이후, 21일에 또 다시 경남지역에 폭설을 쏟을것 같다.

갑자기 경남이 다설지로 변모한것이다. 그것도 3월달에... ㅋㅋㅋㅋ

 원인을 요약하자면, "동풍"때문이다. 찬기류가 남아있는 북동쪽의 공기를 동풍에의해 저기압과함께 영남지역으로 불어주고있기때문에 3월에 눈이오고있는것이다.

 강원영동은 2~3월 동풍에의한 폭설이 유명한 지역이지만, 올해는 경남, 경북, 대구 등 눈이 드문 남부내륙에 폭설을 뿌리고있다. 


 원래는, 북서풍에의한 해기차로 서풍이 불때, 전라도쪽이나 충청쪽에 폭설이 내린다.

이번에는 반대로, 동풍이 분다. 그래서 눈이 거의 안오는 반대쪽에 난리나게생겼다.



비도 잦다. 3월에는.... 3월 8일 눈의 원인과 비슷하게, 3월 21일 시기에맞지않게, 찬 공기가 유입되고있다. 꽃샘추위와 절묘하게, 강수가형성된것이다. 보통 이 시기 봄비는, 남풍에의한 저기압발달로 봄비가내리고, 추운 강원도에 눈이 내리곤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좀더 폭넓게 눈이내릴것이다. 

예상일기도처럼, 고기압이 동북쪽에 위치해있는데, 이것이 차갑고 습한 공기를 불어넣어주고 그를 바탕으로 저기압이 발달하는 식이다. 이로인해, 눈이 정말 안오는 경남 내륙지역까지도 폭설을 야기하는것이다.  날씨는 바람이 매우 중요하다. 바람하나 바뀌어도 확 달라진다.

정확히는 고기압 저기압 위치와 강도에따라.. 바람도 바뀌고 강수형태(눈/비) 강수량 모든게 바뀐다.



 하필 꽃샘추위에 강수가 같이 시작된다. 찬성질이 내려오는데, 이때 동풍이 불면서 내려온다.

절묘학게 저기압이 발달하여, 봄눈이 내릴것이다. 의외로 위도는 높아도 비가내리는구간은

동풍에의한 푄현상으로 비가내릴것이다. 



 저기압의 발달과 기온의 오름내림으로 강수가 크게 갈리겠다. 그러나 현 예상대로라면, 경남의 반 이상이 폭설이 내리게된다. 21일 눈이 내렸다하면 최소 3~5cm 최대 20cm도 가능한 수준으로 잡혀있다.

아주 이례적이다. 눈이 크게 오는것 자체가 이례적인데, 3월 21일 한참 꽃피는 봄에, 눈이 폭설로 내린다고 하니. 적응안될지경이다.



거창은 상황이 더 심각한데, 바로 기온이 낮기때문이다. 경남 북서내륙에 위치한 거창은, 경남에서 춥고 눈 많이오기로 유명하다. 이번 3월 21일은 강원도급으로 올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온이 낮으면서도 동풍이 닿아 강수기 시작되는 지점에서는 큰 눈이 올것이다.

경북내륙과 대구등에서도 많은 눈이 올것이다. 영남의 아주 따듯한 지역을 제외하고는 폭설이 쏟아질 가능성이 있으니, 예의주시해야한다.